今日の為替レートrate

お振込銀行

クレジットカード支払い

ログイン | LOGIN

  • ems
  • jetro
  • ems

Elizabeth Keith’s Korea As It Was 양장)

通常価格 34,200ウォン
販売価格 34,200ウォン
韓国内配送料 3,000ウォン
オプション
 
 
商品購入についてのご案内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はワンモアが販売する商品ではありません。

・この商品の詳細情報、原産地、などは下記の【元の商品ページで開く】をクリックすると通販サイトで確認できます。

・この商品は韓国通販サイト【Auction.co.kr】の情報提携によって掲載しています。

・掲載されている商品のすべてが購入代行可能な商品ではなく、国際発送ができない商品や輸入ができない商品もあります。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のイメージや詳細内容につきましては一切責任を負いません。

・購入希望の場合は販売サイト情報をご確認の上、「購入代行サービスお申し込み」よりご依頼ください。




책소개

This book is a valuable collection that brings together paintings by Elizabeth Keith, a Western artist who captured the fading sceneries of the old Joseon in vivid colors, along with anecdotes and explanations. This is based on the book by Keith, Old Korea: The Land of Morning Calm, published in 1946 in the United Kingdom, with a rich addition of a total collection of Keith's Korea-inspired paintings and research by Professor Young-dahl Song, who specializes in Keith's artworks as a collector and scholar. It took him almost 30 years to complete his Keith collection.

Despite her world acclaim, Elizabeth Keith was little known in Korea. We can have a brighter pic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years, as she photographically painted these sceneries with in-depth understanding and deep affection for the Korean culture and Koreans. This book digitalized 85 artworks by Keith on Korea, from watercolor paintings to woodcut prints in super high-definition quality, and also printed them on quality pieces of paper that are fit for art brochures in order to present them in forms that are as original as possible. Also, the stories and explanations told by Professor Young-dahl Song, who has studied Keith's life and artworks for several decades, offer further understanding of readers.

By publishing this English-language book, which redefines the relations between Keith and Korea in the richest way possible, readers in the English-speaking territory can now enjoy a look into the old landscape of Korea, which was loved by Keith but being forgotten. Readers can also enjoy appreciating Keith's exotic paintings that were reborn in the best-ever color and quality.

이 책은 영국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가 사라져가던 옛 조선의 풍경과 남녀노소를 화려한 색채로 담아낸 그림과 관련 일화 및 설명을 함께 실은 귀중한 자료이다. 1946년 영국에서 첫 출판된 키스 자매의 저서 『Old Korea: The Land of Morning Calm』의 내용에 엘리자베스 키스 작품 수집가이자 연구자인 송영달 교수가 삼십여 년간 발굴한 키스의 한국 소재 그림 일체와 연구 성과를 대폭 추가했다.

세계적 명성에 비해 오히려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 한국 문화와 한국인에 대한 넓은 이해와 깊은 애정을 바탕으로 조선 말기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화폭에 담아낸 키스 덕분에 당시 한반도의 풍경과 생활상을 더 생생하게 가늠해 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키스가 한국을 소재로 그린 수채화와 판화 등 작품 85점을 초고화질로 디지털화해 최대한 원본에 가깝게 구현해 내고 송영달 교수가 수십 년에 걸쳐 연구한 키스의 생애와 작품에 대한 설명, 관련 에피소드를 함께 실어 독자가 더욱 흥미롭고 깊이 있게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키스와 한국의 인연을 풍부하게 재정리한 이 책을 영문으로 다시 출간함으로써 영어권 독자들은 키스가 사랑했던 잊혀져 가는 한국의 옛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최상의 색과 화질로 되살아난 키스의 이국적인 작품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목차

Preface for the Revised Edition / 9
Artist’s Introduction / 17
Foreword / 20
Preface / 22

1. Seoul / 27
Daily Lives of Koreans / 41

2. The Scholar / 57
Korean Beauties / 67

3. The Sorceress and the Priestess / 83
Korean Customs / 97

4. The Nobleman / 111
Impressive Korean Landscapes I / 125

5. Independence Day / 143
Impressive Korean Landscapes II / 157

6. The Two Viscounts / 169
The Scholar and the Aristocrat / 181

7. Two Wise Young Men / 199
Various Koreans I / 209

8. The Crusader / 225
Various Koreans II / 239

9. The Military Governor / 253
Korean Children / 263

10. A Generation of Koreans in Hawaii / 277
A Portrait of Admiral Yi Sun-sin / 285

Appendix: Artworks in Different Styles on the Same Subjects and More Watercolor Paintings / 301
The Life of Elizabeth Keith and Her Paintings on Korea / 323
The List of Elizabeth Keith’s Artworks on Korea / 346
Bibliography / 363
Index of Artworks / 366

저자소개

저자 : 엘리자베스 키스 (Elizabeth Keith)
Born in the Scottish town of Aberdeenshire, Elizabeth Keith traveled to Japan in 1915, the beginning of a nine-year stay in a number of Asian countries. She found herself deeply attracted to Asia’s beauty and culture. Keith visited Korea several times starting in 1919 and worked on watercolor paintings of the Korean culture and daily lives. It was also in 1919 when she held the first-ever exhibition of paintings on Korea in Tokyo and met Watanabe Shozaburo, who led the shin-hanga (New Prints) movement. This encounter led her to start working on woodblock prints. She had a prolific career as a woodblock print artist, mainly working at Watanabe's studio. In her later years, she assumed control of the whole process of etching and woodblock prints.
In 1921, as the first Western-born artist to capture Asian subjects, Keith held an exhibition in Seoul, followed by another in 1934. From the 1920s, she also often held exhibition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er artworks are in the collections of several top-tier museums and galleries worldwide. Korea happens to be a subject that is most frequently visited in her artworks, and it was those pieces that earned her acclaim. In this sense, it is only fair to say that Keith and Korea have a special relationship. She was also an author of books including Old Korea (1946), Eastern Windows (1928), and Grin and Bear It (1917).
스코틀랜드 애버딘셔 태생으로 1915년 일본에 온 이후 동양의 이색적인 아름다움과 문화에 심취하여 동양 각국을 여행하며 그림을 그렸다. 1919년부터 한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며 우리의 문화와 일상을 수채화로 그렸다. 1919년 겨울 도쿄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을 소재로 한 그림을 전시했는데, 이때 신판화 운동에 앞장선 출판인 와타나베 쇼자부로를 만난 이후 목판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와타나베 공방에서 목판화를 많이 만들었는데, 나중에는 직접 에칭과 목판화의 전 과정을 맡기도 했다.
1921년과 1934년 서양인 화가로는 처음으로 서울에서 전시회를 열었고, 192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여러 차례 전시회를 열었으며, 현재 세계의 유수한 미술관에서 키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한국 소재 그림을 가장 많이 남기고 그 작품들로 화가로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키스와 한국은 특별한 관계라 할 수 있다.

저자 : 엘스펫 키스 로버트슨 스콧 (Elspet Keith Robertson Scott)
Elspet is the older sister of Elizabeth Keith. Elspet ran the New East publishing company in Tokyo for several years starting in 1915 with her husband, John Robertson Scott. In doing so, she came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and Japan. When James S. Gale, a missionary, translated and published a Korean classical novel, The Cloud Dream of the Nine, in 1922, Elspet wrote the introduction. It was Elspet who invited her sister Elizabeth to Japan and visited Korea with her in 1919. The sisters joined hands in coauthoring Old Korea, which tells the story of Korea’s reality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 Elizabeth created the paintings and captions, and Elspet wrote the text.
엘리자베스 키스의 언니로 1915년 남편 존 로버트슨 스콧과 도쿄에 와서 뉴이스트 출판사를 운영했다. 잡지 편집인으로 활동하며 일본과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잘 이해하게 되었다. 1922년 선교사 제임스 게일이 한국 고전인 《구운몽》을 영어로 옮겨 출판했을 때, 엘스펫이 작가 김만중과 책의 내용을 소개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 동생 엘리자베스를 일본에 초청해 함께 살다가 1919년에 같이 한국을 방문했고, 그 경험담과 일본의 지배하에 있던 한국의 실상을 담아 이 책을 펴냈다. 그림과 그림 설명은 주로 엘리자베스가 그리고 썼고, 본문 글은 엘스펫이 썼다.

저자 : 송영달 (Young-dahl Song)
Born in Seoul, Young-dahl Song studied at Seoul High School, Yonsei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Georgia in the United States. He earned his Ph.D. in public administration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in 1967. After teaching politics and administration at Yonsei University and East Carolina University for over thirty years as a professor, he retired as an associate professor emeritus, and is now based in Florida.
Professor Song has long focused on collecting old books, paintings, and other publications on Korea by Western writers and artists. By translating Keith’s books Old Korea and Eastern Windows into Korean, he was among the first to acknowledg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mportance of her artwork. Professor Song has held several exhibitions of Keith’s art in museums acros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e Jeonbuk Province Art Museum, and the Gyeongnam Art Museum. He also translated Mary L. Taylor’s Chain of Amber, a story of Seoul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is edition, he provides the whole collection of Keith’s artworks on Korea and includes several pieces on Keith’s life and art.
서울 태생으로 서울고등학교, 연세대학교, 미국 조지아대학교를 거쳐 1967년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와 이스트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정치학, 행정학 교수로 삼십여 년간 재직한 후 명예교수로 은퇴하여 현재는 미국 플로리다 주에 거주하고 있다.
한국 관련 서양 고서(古書)와 서양인 화가들이 그린 한국 소재 그림 수집에 전념하고 있다. 그중 특히 엘리자베스 키스 작품의 역사적, 문화적, 미술사적 중요성을 인식해, 키스의 책 《올드 코리아》와 《동양의 창》을 우리말로 옮겨 펴냈고, 국립현대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과 미국의 여러 미술관에서 여러 차례 키스 전시회를 열었다. 이번 영문 개정판에서 그는 키스의 한국 관련 작품 일체를 제공하고, 키스의 삶과 그림에 관한 여러 글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