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문화에 대한 일반 이론
1.1 문화의 개념
1.2 문화의 유형
1.3 문화의 속성과 구성 요소
1.4 문화의 발달 과정
2 문화 교육론
2.1 언어 교육에서 문화론의 필요성
2.2 문화 교육의 목표
2.3 문화 교육의 내용
2.4 문화의 교수ㆍ학습 방법론
2.5 문화 교육 평가론
3 한국 문화 총론
3.1 한국 문화의 특징
3.2 한국 문화의 정체성
3.3 한국 문화의 발전 양상
3.4 한국인의 성격
3.5 한국의 독특한 풍습
4 한국의 정신 문화
4.1 한국인의 가치관
4.2 한국인의 민족성과 저서
4.3 한국인의 상징 체계
4.4 한국인의 사상
4.5 한국인의 종교와 의식문화
5 한국의 언어 문화
5.1 한국어 문자
5.2 경어법
5.3 한국어의 문화어
5.4 한궁의 속담
5.5 한국의 은유
5.6 한국의 독특한 언어 표현들
6 한국의 문학
6.1 고전문학
6.2 개화기 문학
6.3 현대문학
6.4 문학과 문화 교육
7 한국의 예술 문화
7.1 한국의 음악
7.2 한국의 미술 및 서예
7.3 한국의 조각 및 공예
7.4 한국의 무용
7.5 한국의 연극
7.6 한국의 영화
8 한국인의 생활 문화
8.1 한국인의 기본 예절
8.2 한국인의 식생활
8.3 한국인의 의생활
8.4 한국인의 주생활
8.5 한국인의 여가생활
8.6 한국인의 관습과 세시풍속
9 한국의 제도
9.1 한국의 교육제도
9.2 한국의 행정제도
9.3 한국의 경제제도
9.4 한국의 법제도
9.5 한국의 언론제도
10 한국의 역사
10.1 고조선
10.2 삼국시대
10.3 통일신라 시대
10.4 고려 시대
10.5 조선 시대
10.6 일제 강점기와 독립운동
10.7 광복 이후
10.8 1980년대 이후
11 한궁의 자연과 산업기술
11.1 한국의 자연과 기후
11.2 도로와 교통
11.3 한국의 도시
11.4 교량과 건물
11.5 한국의 산업과 기술
12 한국의 문화재
12.1 문화재의 개념과 유형
12.2 무형문화재의 성격과 종류
12.3 유형문화재의 성격과 종류
12.4 한국 문화의 요체
12.5 한국문화와 한국어의 세계화 과제
13 한류의 개념과 전개 양상
13.1 한류의 개고나
13.2 한류의 의미
13.3 한류 열풍이 일어난 원인
13.4 한류의 전개 양상
13.5 한류의 문제점
13.6 한류의 지속과 확산 방안
참고문헌
찾아보기
한국박물관 목록
국보 목록
저자소개
저자 : 박영순
미국일리노이대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UC 버클리 객원교수와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