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소개
손정미 역사소설. 작가는 삼국 중 가장 소국이었던 신라가 어떻게 중국과 겨뤘던 고구려나 백제를 이기고 통일을 이뤄낼 수 있었는지 당시 상황을 재구성해보고자 했다. 그 결과 공동체의 목표, 공동선(共同善)을 위해 구성원들이 각자의 이기심을 누르고 공동체의 목표와 조화를 이루었다는 것이 작가가 찾은 답이었다. 더불어 우리가 뿌리로 생각하는 단군 조선이란 무엇이며, 신라 화랑의 영적 무사적 힘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이 소설은 그려내고 있다.
삼국 통일 직전 왕경(王京-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옛말)에서 삼국의 젊은이 세 사람이 운명처럼 만난다. 계림(신라)의 화랑인 김유와 신분을 숨긴 채 왕경의 동시(東市)에서 장사를 하는 백제 소녀 정, 고구려 귀족 출신이었지만 전장에서 포로로 잡히는 바람에 왕경으로 끌려와 김유의 노비가 된 진수.
김유는 계림의 왕인 김춘추의 총애를 받는 영명부인의 아들로, 어머니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당나라 황제를 호위하는 숙위로 뽑혀 견당사로 떠난다. 김유와 함께 정과 진수도 당 제국의 수도였던 장안으로 함께 떠나게 된다. 어려서 글을 깨쳐 경서에 능한 정은 장안을 넘어 사주지로(실크로드)를 넘나드는 대상(大商)이 되는 포부와 자유를 희구해왔다. 정은 숙부로부터 김유를 없애라는 지시를 받는다. 백제로서는 계림과 당의 연합전선이 임박하면서 절체절명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었다.
김유가 포함된 계림 견당사의 활약에 힘입어 계림은 당과 동맹을 맺고 백제를 향해 군사를 일으킨다. 당과 계림의 연합군에 의해 백제 사비성이 함락당하고 사주지로로 떠났던 정은 돌아와 지옥으로 변한 사비성을 목격한다. 진수는 자신에게 등을 돌리고 연개소문 아들들의 내분으로 어지러워진 고구려 평양성이 아닌 아리티(하얼빈)로 가 천부경을 내주었던 연인, 정을 기다리고자 한다.
목차
1부 _ 신수두 대제(大祭) / 도망자 / 왕경 / 영명부인 / 낭승(郎僧) 혜각 / 백제녀 / 귀신다리 / 달빛 / 낭도들 / 풍월주 / 고구려에서 온 노비 / 서역의 꿈
2부_ 사절유택(四節遊宅) / 백제 장군의 딸 / 여제(女帝) 선덕대왕 / 암살자 / 어둠 속의 그림자
3부_ 낯선 손님 / 백제의 공격
4부_ 장안(長安) / 서시(西市) / 유학생 / 사랑을 부르는 요초(瑤草) / 말갈소년 / 임무완수 / 사향을 바르고 / 불타는 사비성 / 낙타 위에서 / 약탈
작가의 말 / 신라 왕경도 / 6~7세기 삼국 주요 연표 / 참고 사진
저자 소개
저자 : 손정미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90년 조선일보에 들어가 20년간 문화부, 사회부, 정치부, 산업부 기자로 활동했다. 신문사 사회부 경찰기자로 사건사고 현장을 취재했으며 조선일보 첫 정치부 여기자로 여야 정당을 출입했다. 대학시절부터 소설 집필에 대한 갈망이 있었다. 문학 담당 기자 시절 고(故) 박경리 선생으로부터 소설을 써보라는 권유를 받았다. 2012년 소설을 쓰기 위해 조선일보를 그만두고,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소설 ≪왕경(王京)≫을 집필했다. ≪왕경(王京)≫을 쓰기 위해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를 비롯해 고구려 영토였던 백두산과 중국의 집안 등을 다녀왔다. 이어 소설의 배경인 6~7세기 당나라 수도였던 장안(현재 시안)과 실크로드의 요충지였던 우루무치, 이란을 직접 답사했다. 2014년 현재 월간 샘터 편집장을 맡고 있다.
책 속으로
P.30-31 : 웃통을 벗고 맨손으로 싸우는 수박(手搏)은 계집들이 더 흥분했다. 사내들이 맞붙어 겨루는 모습은 거칠지만 대단한 열기와 흥분을 자아냈다. 신음소리가 터져 나오고 뼈가 꺾이고 피가 튀었다. 여자들은 사내들의 울퉁거리는 근육을 보고 소릴 질렀고, 돌만큼 단단한 허벅지를 보며 발을 굴렀다.
수박에서 승리한 자들에게는 활쏘기에 참가할 수 있는 화살이 주어졌다. 화살을 받은 자들은 과녁을 정확히 뚫어야 했다. 참가자 대부분이 걸음마와 함께 활을 잡았지만 수만 명의 함성을 들으며 과녁을 맞히기가 쉽지 않았다.
“저 봐 저 봐! 영락없이 추모대왕(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이 살아 돌아온 것 같다이까.”
활을 들고 나서는 진수를 보며 누군가 말했다.
진수의 검고 짙은 두 눈은 과녁에 집중하고 있었다. 처음엔 목이 짧고 어깨가 벌어진 제우가 여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지만 진수가 나타나자 곧바로 그 빛을 잃었다. 제우의 위용도 남달랐지만 그건 진수가 없을 때 빛날 뿐이었다.
- 1부 ‘신수두 대제(大祭)’
P.55 : 이때 정은 영명부인의 금입택(金入宅)에 들어서고 있었다.
정은 영명부인의 집을 보고서야 비로소 왕경의 금입택이 어떤 건지 알 수 있었다.
왕경 귀족들은 대저택을 화려하게 꾸미기 위해 지붕과 기둥에 금을 입혔고 이 때문에 금입택이라는 말이 붙었다. 금입택은 서로 맞닿아 있어 해가 찬란하게 뜰 때면 부근 전체가 황금의 나라처럼 빛났다.
금입택에 사는 귀족들은 당에까지 알려진 왕경 장인들의 목걸이와 귀고리 팔찌를 차고, 장안에서 들여온 비단옷을 입었다. 말과 수레는 서역에서 들여온 안장과 등자, 고급 양모 깔개로 꾸며 위세를 드러냈다.
영명부인의 저택은 동서남북 네 곳에 문이 있고 오색(五色) 단청으로 꾸며 장대하면서도 현란했다. 기둥에 입힌 금으로 집 안 전체가 빛에 떠 있는 듯했고 천장은 절정의 기술을 가진 장인의 귀접이(목재의 뾰족 나온 귀를 살짝 깎거나 굴려 모양을 내는 것)였다. 침향목(수마트라산 향목)으로 누각을 만들고 사향과 유향을 진흙과 섞어 바른 벽에서는 말할 수 없는 향기가 번져 나왔다.
- 1부 ‘영명부인’
P.92-93 : “바른대로 말하거라.”
“공을 보러 왔다고 하지 않소.”
“벗어라.”
“뭐요?”
“벗거라. 야심한 시각에 날 보러 왔다며. 네 스스로 벗거라.”
김유는 장도를 빼들어 시퍼런 날을 정에게 들이댔다.
‘너 또 몰래 서책을 가지러 왔구나! 훔치려고 했지? 몇 번이나 타일렀느냐. 서책에 대한 너의 탐심이 큰일을 내겠다.’
정은 순간 숙부의 노여워하던 눈빛이 떠올랐다. 쿵 하는 절망감과 함께 아래서 뭔가 울컥 치밀어 올랐다.
아 모든 게 내가 한 짓이로다.
“내가 벗기랴?”
김유가 튀듯이 정에게 달려들었다.
김유를 필사적으로 밀쳐낸 정은 자신의 옷고름을 잡아 뜯고 불을 신경질적으로 껐다.
열린 문틈으로 달빛이 차 들어왔다.
저고리를 벗자 정의 풍만한 가슴이 흰 구름처럼 흘렀다. 푸르스름한 빛 속을 헤엄치는 한 마리 신이(神異)한 인어 같았다. 군살 하나 없이 딱 바라진 어깨 아래로 잘록한 허리가 지나치게 좁았다.
김유는 정의 어깨를 누르며 두 눈을 사납게 내려다보았다.
이제 정은 부끄럽지도 두려워하는 기색도 없이 김유를 맹렬히 쏘아보았다. 까만 조약돌에 박힌 금강석처럼 투명하게 빛나는 눈이었다.
출판리뷰
삼국 통일 직전,
이 땅에선 무슨 일이 벌어졌나
삼국 중 가장 약소국이던 신라가 대통일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사치와 음탕함이 넘쳐나는 왕경(경주)이었지만
고구려나 백제가 가지지 못한 무엇이 분명 있었다.
"네가 부모를 택해 태어날 수 없듯이, 계림에 태어난 것도 네 선택은 아니었다.
왕경의 진골로 태어난 것, 화랑이 됐다는 것이 기쁨인 줄 아느냐?
천만에 슬픔이다.
네 몸과 혼은 네 것이 아니라 계림을 위해, 이 위대한 신국(神國)을 위해
바쳐야 하기 때문이야."
***
신라의 진골이자 화랑인 김유, 고구려 귀족에서 노비로 전락한 진수, 백제에서 온 비밀스러운 소녀 정. 세 사람은 저마다의 사연을 지닌 채 신라의 수도 왕경(경주)에서 운명처럼 얽힌다. 그들은 거병을 앞둔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제 나라의 명운 앞에 번뇌하고, 문득 찾아온 낯선 감정 앞에 망설인다. 손에 잡히지는 않지만 분명히 있을 것 같은 행복…
“살고 싶고 사랑하고 싶다.”
2014년을 살고 있는 우리의 정체성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나
왕경 이야기는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의 정체성은 언제부터 시작됐는가를 더듬는 과정에서 비롯되었다. 작가는 삼국 통일이 우리에게 중요한 기점이 됐다는 점을 주목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그렇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통일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작가는 삼국 중 가장 소국이었던 신라가 어떻게 중국과 겨뤘던 고구려나 백제를 이기고 통일을 이뤄낼 수 있었는지 당시 상황을 재구성해보고자 했다. 그 결과 공동체의 목표, 공동선(共同善)을 위해 구성원들이 각자의 이기심을 누르고 공동체의 목표와 조화를 이루었다는 것이 작가가 찾은 답이었다.
더불어 우리가 뿌리로 생각하는 단군 조선이란 무엇이며, 신라 화랑의 영적 무사적 힘이 어떤 것이었는지를 이 소설은 그려내고 있다.
한민족의 대사건, 삼 국 통 일
그 한가운데 아름답고 아픈 청춘이 있었다
삼국 통일 직전 왕경(王京-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옛말)에서 삼국의 젊은이 세 사람이 운명처럼 만난다. 계림(신라)의 화랑인 김유와 신분을 숨긴 채 왕경의 동시(東市)에서 장사를 하는 백제 소녀 정, 고구려 귀족 출신이었지만 전장에서 포로로 잡히는 바람에 왕경으로 끌려와 김유의 노비가 된 진수.
김유는 계림의 왕인 김춘추의 총애를 받는 영명부인의 아들로, 어머니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당나라 황제를 호위하는 숙위로 뽑혀 견당사로 떠난다. 김유와 함께 정과 진수도 당 제국의 수도였던 장안으로 함께 떠나게 된다. 어려서 글을 깨쳐 경서에 능한 정은 장안을 넘어 사주지로(실크로드)를 넘나드는 대상(大商)이 되는 포부와 자유를 희구해왔다. 정은 숙부로부터 김유를 없애라는 지시를 받는다. 백제로서는 계림과 당의 연합전선이 임박하면서 절체절명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었다.
김유가 포함된 계림 견당사의 활약에 힘입어 계림은 당과 동맹을 맺고 백제를 향해 군사를 일으킨다. 당과 계림의 연합군에 의해 백제 사비성이 함락당하고 사주지로로 떠났던 정은 돌아와 지옥으로 변한 사비성을 목격한다. 진수는 자신에게 등을 돌리고 연개소문 아들들의 내분으로 어지러워진 고구려 평양성이 아닌 아리티(하얼빈)로 가 천부경을 내주었던 연인, 정을 기다리고자 한다.
2년간의 취재 … 실크로드의 종착지는 왕경
작가는 2012년 봄부터 2년간 삼국 관련 자료는 물론, 삼국 통일과 깊은 관계였던 당 태종(이세민)에 대한 자료 등 중국 자료를 찾고 취재했다. 통일 직전 당시 상황을 중국과 고구려가 북방 초원 민족들인 유목민 집단과 맺은 관계, 실크로드라는 세계적인 상업-문화-종교 루트와 연동해 들여다보았다.
또한 당시 상황을 입체적으로 보기 위해 경주를 포함해 고구려 영토였던 중국 집안과 백두산, 당 제국의 코스모폴리탄이었던 장안(지금의 서안)과 실크로드의 중요 거점이던 가욕관(실크로드로 나가는 관문)을 비롯해 우루무치, 이란(페르시아) 등을 답사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가는 실크로드는 중국의 장안에서 끝난 것이 아니라 왕경(경주)까지 이어졌음을 깨달을 수 있었다.
전쟁의 불길도 막을 수 없었던 책벌레들의 서 책 욕 망
이 소설에는 삼국 통일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그 배경을 이야기를 통해 따라가는 재미, 청춘남녀의 로맨스를 쫓아가는 아슬아슬함과 더불어 또 하나의 숨겨진 재미가 있다. 바로 책벌레인 주인공들의 입을 통해 동양의 진귀한 서책들을 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화랑인 김유는 왕경에서도 서책을 가장 많이 사 모으기로 유명하고, 백제 소녀 정은 여자가 책을 읽는 것을 금기시했던 당시 상황 속에서 몰래 글을 배우고 책을 탐독했으며, 심지어 책을 훔쳐서 보는 일도 서슴지 않아 주변의 걱정을 들을 만큼 책 욕심이 대단하다. 그러한 정에게 몰래 글을 가르쳐준 숙부 역시 “역사가 없는 나라와 백성은 아무것도 아니다. 적군에게 짓밟히고 약탈당해도 역사가 남으면 영원히 살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며 사책에 목숨을 건다.
천부경(天符經), 역경(易經), 시경(詩經), 논어(論語), 서기(書記), 김해병서(金海兵書),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 등 등장인물들의 서책에 관한 지식 대결이 숨은 재미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