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난 그냥 내가 되면 좋겠어.
정체성의 발견과 자존감을 주제로 한 철학적 이야기
종종 동물원에 가서 실제 동물들을 보고 스케치했던 에릭 칼은 어느 날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카멜레온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는 다른 움직임 없이 보석 같은 눈만 뙤록거리는 모습을 관찰하다 문득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만약 카멜레온이 색깔만 바꾸는 게 아니라 다른 것들도 바꿀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이 책 『뒤죽박죽 카멜레온』의 시작은 바로 이 질문에서부터였다. 에릭 칼이 그러했듯이 이 책에 등장하는 카멜레온도 동물원에 갔다가 멋진 동물들을 보게 된다. 그는 새하얀 북극곰, 멋있는 플라밍고, 영리한 여우처럼 다른 동물들이 가진 장점을 부러워한 나머지 그들처럼 되고 싶다는 바람을 갖게 된다. 그런 그의 바람은 마법처럼 이루어지고 카멜레온의 몸은 결국 다른 동물들과 뒤죽박죽 섞이게 된다. 그러다 문득 배가 고파진 카멜레온은 이렇게 이도 저도 아닌 몸으로는 파리 한 마리 잡아먹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결국 본디 자신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 이야기 속의 카멜레온은 몸의 색을 바꾸어 스스로를 보호하고, 축축한 혀로 먹이를 쉽게 사냥할 수 있는 자신만의 특출 난 능력을 깨닫지도 못한 채 남을 부러워하기 바쁘다. 에릭 칼은 이런 카멜레온 이야기를 통해 나는 나 자신만으로도 특별하고, 소중하고, 아름답다는 자존감을 일깨워 준다. 내가 무엇을 잘하는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내 본연의 모습을 깊이 생각하며 나의 정체성을 스스로 발견하는 것이야말로 앞으로 자신의 삶을 가치 있게 만들어 줄 씨앗이라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말이다.
출판사서평
어린이들을 위한 예술가, 에릭 칼
뉴욕 시러큐스에서 태어난 에릭 칼(1929~2021)은 대담한 색채와 독특한 콜라주 기법의 그림으로 유명한 그림책 작가이다. 그는 독일 슈투트가르트 시각예술학교에서 그래픽 아트를 공부한 뒤, 다시 뉴욕으로 돌아와 「뉴욕타임스」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던 중 작가 빌 마틴 주니어의 눈에 띄어 그림책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에릭 칼이 창작한 작품 대부분은 애벌레, 거미, 무당벌레, 반딧불이, 씨앗 등 자연 속에 살고 있는 작은 생명체에서부터 시작한다. 칼은 어린 시절 아버지와 함께 초원과 숲을 산책하며 자연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 관심은 훗날 그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주제이자 전제가 되었다. 자연에 대한 감사와 크고 작은 동물에 대한 사랑을 기반으로 쓰여진 에릭 칼의 작품들은 어린이들에게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싹트게 한다.
에릭 칼의 책들이 그토록 깊이 있고, 한결같이 의미 있는 이유는 그가 아이들에 대해, 아이들의 감정과 관심에 대해, 아이들의 독창성과 지적 발전에 대해 진정한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앤 베네듀스(『아주아주 배고픈 애벌레』의 편집자)
에릭 칼은 어린아이가 집을 떠나 처음 학교에 가는 시기를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정과 안전, 놀이와 감각의 세계에서 이성과 추상, 질서와 규율의 세계로 건너가야 하는 그 엄청난 간극이 펼쳐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칼은 자신의 책이 그 간극을 이어주는 도구가 되기를 바라며 작품을 썼다. 구멍 뚫기, 모양 따기, 플랩 같은 놀이 장치와 수 세기, 요일, 과일 종류, 자연사 정보 그리고 다른 교육적 요소들이 섞여 있는 칼의 책은 반은 장난감(집)이고 반은 책(학교)이다. 아이들이 자신의 책을 읽고, 놀고, 즐기며 한 단계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랐던 에릭 칼의 마음은 그의 책 곳곳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난 그냥 내가 되면 좋겠어.
정체성의 발견과 자존감을 주제로 한 철학적 이야기
종종 동물원에 가서 실제 동물들을 보고 스케치했던 에릭 칼은 어느 날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카멜레온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그는 다른 움직임 없이 보석 같은 눈만 뙤록거리는 모습을 관찰하다 문득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만약 카멜레온이 색깔만 바꾸는 게 아니라 다른 것들도 바꿀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이 책 『뒤죽박죽 카멜레온』의 시작은 바로 이 질문에서부터였다. 에릭 칼이 그러했듯이 이 책에 등장하는 카멜레온도 동물원에 갔다가 멋진 동물들을 보게 된다. 그는 새하얀 북극곰, 멋있는 플라밍고, 영리한 여우처럼 다른 동물들이 가진 장점을 부러워한 나머지 그들처럼 되고 싶다는 바람을 갖게 된다. 그런 그의 바람은 마법처럼 이루어지고 카멜레온의 몸은 결국 다른 동물들과 뒤죽박죽 섞이게 된다. 그러다 문득 배가 고파진 카멜레온은 이렇게 이도 저도 아닌 몸으로는 파리 한 마리 잡아먹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결국 본디 자신의 모습으로 돌아가고 싶어 한다. 이야기 속의 카멜레온은 몸의 색을 바꾸어 스스로를 보호하고, 축축한 혀로 먹이를 쉽게 사냥할 수 있는 자신만의 특출 난 능력을 깨닫지도 못한 채 남을 부러워하기 바쁘다. 에릭 칼은 이런 카멜레온 이야기를 통해 나는 나 자신만으로도 특별하고, 소중하고, 아름답다는 자존감을 일깨워 준다. 내가 무엇을 잘하는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내 본연의 모습을 깊이 생각하며 나의 정체성을 스스로 발견하는 것이야말로 앞으로 자신의 삶을 가치 있게 만들어 줄 씨앗이라는 메시지를 전하면서 말이다.
기발하고 엉뚱한 그림을 통해 아이들의 자유로운 사고를 이끌어 내는 책
에릭 칼은 직접 칠한 색지를 사용하여 콜라주 기법을 구현하는 작가이다. 색지를 조각조각 자르고 찢어서 추상적인 패턴과 디자인으로 배열하는 그의 기법은 뒤죽박죽이 된 카멜레온의 몸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 준다. 책장을 넘길 때마다 카멜레온의 몸통에 코끼리의 코, 사슴의 뿔, 거북이의 등딱지 등 다른 동물들의 신체 한 부분이 뒤섞여 가는 장면은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아 낸다. 다음 장에서는 또 어떻게 변할까? 하는 궁금증으로 책장을 넘기다 보면 우리가 알고 있던 카멜레온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낯선 동물의 모습이 눈앞에 나타난다. 이처럼 에릭 칼은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엉뚱한 볼거리들을 자신의 그림 속에 그려 넣어 어린이의 자유로운 사고를 이끌어 낸다.
학습 요소들이 녹아 있는 감각적인 디자인
책을 읽는 것뿐 아니라 놀잇감으로도 디자인하는 에릭 칼은 이 책 역시 아이들이 손으로 넘기고, 가지고 놀면서 자연스레 동물들의 이름과 색을 인지할 수 있게 구성했다. 그는 양쪽 페이지의 옆을 점점 깊게 잘라 낸 뒤, 각 장마다 카멜레온이 부러워하는 동물들을 왼쪽에 한 마리씩 그려 넣었다. 오른쪽에는 그 동물의 몸 색깔을 그리고, 글 안에 동물의 이름을 적어 주어,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방향에 따라 읽으면 동물 그림-동물 이름-동물의 색깔이 한 장면 안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게 구성했다. 단순히 세련되고 감각적인 디자인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학습 요소들을 곳곳에 녹여 놓은 에릭 칼의 구성력은 이 책을 더욱 유익하게 만들어 준다.
* 인증유형 : 공급자 적합성 확인
저자소개
저자 : 에릭 칼
뉴욕에서 태어나 여섯 살이 되던 해에 독일로 건너갔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시각 예술 학교에서 그래픽 아트를 공부한 뒤, 다시 뉴욕으로 돌아와 <뉴욕타임스>
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했다. 작가 빌 마틴 주니어의 권유로 그림책 작업을 시작한 그는 1968년 첫 그림책 《1, 2, 3 동물원으로》를 발표하였으며, 1969년에 출간한 《아주아주 배고픈 애벌레》로 큰 인기를 얻었다. 전 세계 70여 개 언어로 번역되고, 5,500만 부 이상의 판매를 기록한 《아주아주 배고픈 애벌레》는 에릭 칼의 대표작이자 그림책계의 스테디셀러로 손꼽힌다. 로라 잉걸스 와일더 상, 볼로냐 국제도서전 그래픽 상 등 유수의 상들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아 온 그는 2021년 91세에 세상을 떠났다. 작품으로 《갈색 곰아, 갈색 곰아, 무얼 바라보니?》, 《심술궂은 무당벌레》, 《아주아주 바쁜 거미》, 《아빠 해마 이야기》 등이 있다.
역자 : 서남희
서강대학교에서 역사와 영문학을, 대학원에서 서양사를 공부했습니다. 어린이 책을 쓰고 옮기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쓴 책으로 『아이와 함께 만드는 꼬마영어 그림책』,
<그림책과 작가 이야기>
시리즈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그림책의 모든 것』 『100권의 그림책』 『분홍 모자』 『코끼리 탐험대와 지구 한 바퀴』 『세계사 박물관』 『가난한 사람은 왜 생길까요?』 『깜장이와 푸들 친구들』 『혼자 사는 생쥐 줄리앙』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원』 『더벅머리 톰』 『내 모자 어디 갔을까?』 『세모』 『안녕, 봄』 등이 있습니다.
그림책과>
뉴욕타임스>
상세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