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새 학문의 개창 '실크로드학'
'실크로드'라는 이름은 120여년 전 처음 등장한 이래 오랫동안 사람들을 매료해왔다. 독일 지리학자 리히트호펜(F. von Richthofen)이 처음 만들어 썼으니 이 이름 자체가 그 연구사의 기원을 밝혀주는 셈이다. 그러나 실제로 실크로드는 그보다 훨씬 더 오래 전, 인류문명의 개화와 궤적을 같이하며 2천여 년이 넘도록 말 그대로 문명탄생의 산실이자 문명발달의 원동력으로 기능해왔다. 실크로드에 대한 연구가 문명교류사의 핵심적 위치를 점하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이다.
실크로드 연구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중앙아시아 탐험과 2차대전 전후에 진행된 실크로드 연변의 일련의 고고학적 발굴을 계기로 본격화했다 그러나 이는 그야말로 시발점에 불과해서, 실크로드 전체를 통관하는 진정한 학적 정립은 이제까지 이뤄지지 않은 과제였다. 문명교류사 연구가 주로 교통사나 지역학에 편중해온 데다 실크로드가 포괄하는 시 ·공간적 방대함과 교류상(相)의 복잡다기함도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 책 『실크로드학』은 여러 개념들을 정의하고 엮어세움으로써 문명교류사 연구의 주된 일부로서의 실크로드 연구를 하나의 학문으로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실크로드라는 환지구적(環地球的) 통로를 통해 진행된 문명간의 교류상을 인문 ·사회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어디까지나 실크로드를 통한 제반 교류상의 골격을 총론적으로 규범화함으로써 고유의 학문적 체계와 범주를 갖추어야 할 것"이라는 저자의 말은 이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목차
목차
서장 씰크로드학의 정립
제1장 씰크로드의 전개사
1. 씰크로드의 개관 ... 35
2. 초원로 ... 41
3. 오아시스로 ... 46
4. 해로 ... 52
5. 5대 지선 ... 78
2장 씰크로드를 통한 교류의 역사적 배경?
1. 교류의 역사적 배경 ... 82
2. 교류의 정치사적 배경 ... 84
3. 교류의 경제사적 배경 ... 144
4. 교류의 민족사적 배경 ... 1709
5. 교류의 교통사적 배경 ... 188
3장 씰크로드를 통한 물질문명의 교류
1. 옥의 교류 ... 209
2. 유리의 교류 ... 215
3. 보석류의 교류 ... 235
4. 비단의 교류 ... 240
5. 종이의 교류 ...255
6. 도자기의 교류 ... 261
7. 향료의 교류 ... 270
8. 인쇄술의 교류 ... 281
9. 연단술과 화약의 교류 ... 186
10. 나침반의 교류 ... 293
4장 씰크로드를 통한 정신문명의 교류
1. 문학의 교류 ... 300
2. 학문의 교류 ... 329
3. 예술의 교류 ... 354
4. 종교의 교류 ... 377
5장 씰크로드를 통한 인적교류
1. 인적교류 ... 401
2. 교류관계 수립을 위한 인적교류 ... 403
3. 물질문명 교류를 위한 인적교류 ... 445
4. 정신문명 교류를 위한 인적교류 ... 462
6장 씰크로드를 통한 교류의 문헌적 전거
1. 교류의 문헌적 전거 ... 535
2. 개설소개서 ... 539
3. 학문연구서 ... 558
4. 여행문학서 ... 568
7장 씰크로드를 통한 교류의 유물적 전거
1. 교류의 유물적 전거 ... 584
2, 주요 요지 ... 586
3. 물질문명 유물 ... 658
4. 정신문명 유물 ...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