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문학 일반론에서 출발하여 북한 문학이나 해외 동포 문학으로 확장된 김종회의 문학 비평과 연구의 궤적을 모두 담은 비평집이다. 특히 사단법인 일천만이산가족재회추진위원회 사무총장, 통일문화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면서 북한 문학과 해외 동포 문학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쏟아 온 저자가, 한계를 맞이한 듯한 한국 문학을 그 협의의 관점에서 풀어주어 더욱 포괄적이고 광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세계 문학으로서의 한국 문학의 위상을 새로이 해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목차
목차
머리말
1장. 북한 문학의 새 인식
북한 시에 나타난 6.25 전쟁
북한 시에 나타난 마산의거와 4.19혁명
북한 대표 작품의 계급적 관점과 탈계급적 관점
『주체문학론』 이후 북한 문학의 방향성
북한 문학?과 해외 동포 문학의 새 인식과 범주
2장. 해외 동포 문학의 재발견
존재 자아의 정체성 탐색과 시적 사유 - 배미순
이국 정서의 공동체적 친화력 - 최선주
시와 삶의 행복한 만남 - 이임성
삶과 꿈, 그 변증법적 조화 - 윤웅아
지상의 극점에 핀 우정과 사랑의 꽃 - 신영철
믿음, 민족혼, 인간애의 세 줄기 빛 - 박경숙
태평양을 넘는 비상의 날개 - 김명순
3장. 한민족 문화권의 디아스포라
한민족 문화권의 문학과 디아스포라
중국 조선족 문학의 형성과 작품 세계
중앙 아시아 고려인 문학의 형성과 작품 세계
고려인 문학의 의의와 작품의 성격
4장. 종교와 문학의 접점
개화기 천주 가사의 세계
만해 문학의 서사성
사유의 극점에서 만난 종교성의 두 면모 - 김달진
현대 문학과 기독교 사상
시와 신앙의 악수, 또는 행복한 글쓰기 - 신영춘의 시
5장. 한국 문학과 근대의 경계
문학과 근대성, 또는 그 극복의 서사 - 황석영
근대의 선두에 선 작가의 고향 - 박완서
객주와 현실의 문학 공간 - 김주영
한 운명론자의 두 얼굴 - 이병주
안과 밖의 조합, 이야기와 글쓰기의 동행 - 전경린
문학 비평, 또는 글쓰기에 있어서의 균형 감각 - 김환태
출판사서평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