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근대의 갈림길 속에서 우리의 현재와 미래를 점쳐본다
조선의 근대와 식민의 길을 탐색한다!
『기획강좌: 근대의 갈림길』시리즈《한국 | 근대와 식민의 서곡》. 이 시리즈는 한·중·일 3국의 현재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 분기점이 된 19세기말 20세기 초의 근대이행기를 총체적으로 살핀다. 제국주의로 상승한 일본, 반식민지로 바뀐 중국, 식민지로 전락한 한국의 이미지를 넘어서 ‘근대의 갈림길’ 속에서 세 나라의 근대이행기를 탐구한다.
1권은 조선의 내재적 근대화가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왜 좌절되었는가를 밝히면서 이들이 추구한 근대성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가지는가를 찾는다. 한국이 식민지로 된 것은 필연적인 결과가 아니라 당시 나타난 여러 가능성들 가운데 하나가 실현된 것일 뿐임을 보여준다.
조선의 근대와 식민의 길을 탐색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한국 사회의 지배구조를 역사적으로 추적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조선이 식민지로 전락함으로써 이전 역사와 단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근대성의 측면에서 볼 때 식민 이전과 이후에 일정한 정도의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논한다. [양장본]
목차
목차
기획강좌'근대의 갈림길'을 펴내며
책머리에
제1부 전통의 탈피와 근대와의 만남
1장 위기와 기회
19세기 후반의 국가적 위기
농민경제 파탄과 국가재정의 빈곤
무너지는 체제의 안정성
바깥으로부터 오?는 압력
위기와 기회의 변증법
2장 새로운 세계의 인식과 근대의 모색
전통적 세계의 고수
서구적 근대의 탐색
전통을 너머 서구적 근대로
3장 오래된 질곡으로부터의 탈피
동학농민운동의 발생과 전개
농민의 동학농민운동 참여동기와 조직화
동학농민군이 꿈꾸었던 세상
제2부 새로운 근대국가 만들기
4장 근대적 국가건설의 구상
갑오개혁의 자율성
근대적 국민국가의 건설
미완의 근대화와 부족한 개혁자원
조세제도의 개혁을 통한 자원동원의 한계
5장 낡은 옷을 벗고 새로운 것으로
광무개혁: 구본신참 혹은 신본구참
광무개혁의 자원동원
통화정책을 통한 자원동원의 한계
6장 스스로 강해지는 길을 찾아서
위기의식과 개혁의 필요성 확산
근대적 교육과 인재양성
식산흥업과 경제적 근대화
전통으로부터의 탈피와 그 한계
제3부 근대적 자본과 식민의 길
7장 쌀이 돈이 되고 돈이 힘이 되다
농업의 상업화와 시장경제의 확산
농업의 상업화와 계습의 차별적 대응
지주제의 변화
8장 부르주아지 없는 부르주아 개혁?
일본에 의한 상업자본의 지배
조선 산업자본의 발생과 쇠퇴
정치적 갈등을 수반하지 않은 농업자본의 축적
9장 근대로의 길, 식민으로의 길
근대로의 길
식민으로의 길
참고문헌
출판사서평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