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학론에서 동아시아론까지』는 민족문학론과 동아시아론이라는, 수많은 담론이나 기획과의 경쟁 속에서 그 존재감과 영향력을 유지해온 이 두가지 담론의 존재의의를 재확인하며 오늘의 현실에서 다시금 실천적 논의를 제기해본다.
발간사 005
총론 민족문학론에서 동아시아론으로 최원식 013
제1부 포스트 민족문학론
1장 | 제3세계 민중의 시각과 민족주의의 내적 극복 하정일 035
2장 |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김명환 056
3장 |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조정환 080
4장 | 동양적 숭고 황종연 109
5장 | 민족문학과 민중문학을 다시 생각하기 천정환 143
6장 | 민족문학론과 최원식 김명인 173
제2부 동아시아론
1장 | 동아시아 담론의 형성과 이행 윤여일 207
2장 | 최원식과 한국발(發) 동아시아 담론 이정훈 251
3장 | 분단체제론과 동아시아론 류준필 266
4장 | ‘동북아-동아시아’로 가는 길 이일영 295
5장 | 동아시아 공동체 문화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욱연 318
6장 | 동아시아론과 대중문화의 초국적 횡단 임춘성 335
7장 | ‘거대분단’의 극복과 이상적 동아시아의 가능성 장 즈창 356
8장 | 핵심현장에서 다시 보는 ‘새로운 보편 ’ 백영서 371
주 389
찾아보기 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