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국의 남다른 문화유산을 만나 더욱 흥미롭고 풍부해진 유홍준표 답사기.
탁월한 안목과 절묘한 입담, 답사를 향한 열정으로 사랑을 받아온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 제1권 《돈황과 하서주랑》. 우리 땅 곳곳을 누비며 전국토가 박물관임을 설파한 유홍준이 드디어 중국 대륙으로 떠났다. 한반도의 약 40배, 남한의 약 100배에 가까운 면적에 남북한의 약 20배가 되는 인구를 품은 중국의 문화는 스케일로 우리를 압도하고, 긴 세월 우리와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받아 우리 문화유산을 보는 큰 거울이 되기도 한다.
중국 대륙을 향한 장대한 발걸음을 내딛은 첫 기착지는 실크로드 도시 돈황과 그곳으로 가는 경로인 하서주랑이다. 주나라 진나라의 본거지이자 《삼국지》의 무대인 서안 관중평원에서 시작해 감숙성 하서주랑을 따라가며 만리장성을 만나고 돈황의 명사산에 이르는 여정을 담은 이 책에서 켜켜이 쌓인 문화적 자신감으로 오늘날 대국굴기하는 중국의 진면목을 알아가는 한편, 동아시아 문화를 주도해나가는 동반자로서의 중국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다.북소믈리에 한마디.
한생을 우리 땅을 비롯해 전 세계를 누빈 유홍준이 답사의 로망으로 간직한 땅, 즐거운 여행의 놀이터이자 역사와 문화의 학습장이면서 나아가 오늘날 국제사회 속에서 우리의 좌표를 생각게 하는 세계사의 무대인 중국.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을 통해 중국 문화유산을 즐겁고 깊이 있게 감상하는 한편, 우리 문화의 연관, 비교를 통해 우리 것을 더 제대로 알아가며 문화유산을 감상하는 탁 트인 안목을 키워갈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1』
돈황과 하서주랑: “명사산 명불허전”
중국 답사기를 시작하며: 동아시아의 일원으로 중국문화를 바라보는 우리의 눈
제1권 책을 펴내며: 답사의 로망, 돈황·실크로드
제1부 관중평원
섬서성 너머 감숙성으로 주나라, 진나라의 본거지를 지나며
사로군조상 / 함양 아방궁 / 두목지의 「아방궁부」 / 진령산맥과 관중평원 / 위하 /
왕유의 「위성곡」 / 한무제의 무릉 / 제갈량의 오장원 / 보계시의 주원박물관
감숙성의 첫 도시, 천수 천수에서 만나는 이릉과 사마천, 그리고 이백과 두보
천수의 역사 / 한나라 비장군 이광 / 사마천의 『사기』 /
천수에 온 두보 / 이백의 고향 / 서봉주와 이백의 「월하독작」
맥적산석굴 천 년을 두고 조성된 옥외 불상 박물관
석굴사원의 기원 / 맥적산으로 가는 길 / 중국의 잔도 /
맥적산석굴의 불상들 / 맥적산석굴의 역사 / 만불동의 조상비
제2부 하서주랑
난주 병령사석굴 당나라 불상들이 황하석림을 거니누나
난주로 가는 길 / 황토고원과 황하 / 동굴 주택 야오둥 /
유가협 댐과 황하석림 / 병령사석굴 / 삼굴의 자세 / 제169굴의 불상
하서사군 한혈마와 흉노 이야기
난주의 마답비연상 / 하서사군 지명 이야기 / 하서주랑의 유적지들 /
흉노의 역사 / 장건의 서역 개척 / 한무제와 하서사군 / 왕소군과 흉노
만리장성 가욕관 여기가 만리장성의 서쪽 끝이라던가
가욕관의 내력 / 가욕관의 관성 구조 / 천하웅관 가욕관 /
정성전 / 장성박물관 / 고비사막 / 위진시대 화상전
제3부 돈황
돈황 잡사(雜事) 인생 백세를 노래한다
돈황 유물과 문서 / 돈황벽화 속 한국인 / 우리나라의 돈황학 / 돈황의 역사 /
돈황의 지리적 특징 / 오아시스 도시의 숙명 / 돈황 사람들의 삶과 노래
명사산 월아천 명사산은 명불허전
막고굴 천불동 / 소설 『돈황』 / 막고굴 불상 양식의 변천 / 당하 / 명사산과 월아천
부록
답사 일정표 / 중국 역대 왕조·유목민족 연표 / 주요 인명·지명 표기 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