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소개
엄마 아빠는 나를 얼마만큼 사랑할까?
“엄마 아빠는 내가 백 번이나 콧물을 흘려도 나를 사랑할 거예요?” “물론이지. 백 개의 손수건으로 닦아 주며 너를 사랑할 거야.” 엄마 아빠는 나를 얼마만큼 사랑할까? 모든 순간마다 부모의 사랑을 확인하고 싶어하는 아이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변함없이 사랑할 거라는 믿음을 주는 부모의 대화가 깊은 울림을 주는 그림책이다.
■ 상세이미지
■ 출판사서평
엄마 아빠는 나를 얼마만큼 사랑할까?
“엄마 아빠는 내가 백 번이나 콧물을 흘려도 나를 사랑할 거예요?” 이제 막 잠에서 깬 아이가 콧물 자국이 있는 채로 해맑게 묻는다. “물론이지. 백 번이나 콧물이 흐르면 백 개의 손수건으로 너를 사랑할 거야.” 이후에도 아이의 물음은 계속된다. 엄마 아빠는 내가 백 번이나 젓가락을 떨어뜨려도 나를 사랑할 거예요? 내가 백 번이나 양말을 뒤집어 벗어도 나를 사랑할 거예요? 백 번이나 소리 내어 울어도, 백 번이나 신발을 모래 트럭으로 만들어도, 백 번이나 쿵쿵 뛰어도 나를 사랑할 거예요? 우리는 아이에게 어떤 대답을 들려줄 수 있을까? 아이는 왜 자꾸 이런 질문을 하는 것일까?
듣고 또 듣고 싶은 말, 언제나 변함없이 사랑해!
가끔 아이들이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보이면 어떻게 반응을 해야할지 난감한 경우들이 있다. 아이가 갑자기 소리를 지르거나, 타인의 물건을 욕심내거나, 폭력적인 태도를 취하는 등의 문제 행동을 하면 무섭게 다그쳐야 할지, 좋게 타일러야 할지 더욱 혼란스럽다. 우리는 이런 아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 것일까?
『콧물 눈물』은 언제나 변함없는 부모의 사랑을 아이들이 얼마나 원하는지를 보여 주는 그림책이다. 책 속에서 아이는 부모를 시험에 들게 하려는 것만 같다. 울고, 장난치고, 뛰고 잔소리 듣기 딱 좋은 행동들을 계속하며 묻는다. 이래도 나를 사랑할 거냐고 말이다. “엄마 아빠는 내가 백 번이나 쿵쿵 뛰어도 나를 사랑할 거예요?” “물론이지. 백 번이나 조심하라고 말하며 너를 사랑할 거야. 백 번이나 말해도 네가 듣지 않으면 백 번이나 너를 붙잡아 꼭 안으며 사랑할 거야.” 아이들은 안다. 부모가 단순히 화를 내고 있는 것인지 자신을 사랑해서 하는 말인지 오롯이 느낄 수 있다. 사랑이 느껴지지 않는 분노에 대해서는 반드시 의심하게 되어 있다. ‘우리 엄마 아빠는 나를 사랑하기는 하는 것일까?’ 부모의 사랑에 대해 신뢰가 깨지는 순간이 계속되면 아이의 문제 행동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 아이의 문제 행동 저 깊숙한 곳에는 채워지지 않은 사랑에 대한 갈증이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손주를 대하는 할머니 할아버지의 모습을 떠올려 보자. 아이가 떼를 쓰거나 마구 울어 대면 “우리 강아지 그렇게 속상했어?” 하며 아이의 마음을 들여다보듯 이해하고 보듬어 주려 한다. 그다음에 “아무리 속상해도 그렇게 하면 안 되는 거야.” 하면 아이들은 스스로 진정하고 고개를 끄덕인다. 글을 쓴 채인선 작가 역시 손녀를 돌보며 이 책을 썼다. “내일 네가 흘릴 콧물과 눈물도 미리 사랑해.” 하는 마음으로 아이들에게 다가가 보자.
아이의 마음을 든든하게 채워 주는 포근한 그림책 『콧물 눈물』
아이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듯 정확히 묘사하고 풍부한 상상과 공감으로 이야기를 풀어내는 채인선 작가의 따뜻한 글과 주변에 정말 있을 것 같은 아이들의 모습과 생활 속 이야기를 고스란히 화폭에 옮겨 공감을 주는 박서현 작가의 사랑스러운 그림이 만나 『콧물 눈물』을 완성시켰다. 천방지축 아이의 하루를 따라가며, 글이 담고 있는 상상의 여지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분위기와 어우러지는 순간의 상황을 적절히 묘사한 장면들이 인상적이다. 콧물처럼 흐르는 휴지, 뒤집어진 채로 신긴 양말, 엄마의 시선에서 내려다보이는 울먹이는 아이 등 우리 집 이야기를 보는 듯 친근하고 공감 가는 그림이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꾸며 준다. 조연처럼 등장하는 콧물 눈물 인형이나 장면 구성, 집 안 소품 하나하나까지 공감과 웃음을 주는 그림책이다. 아이와 함께 읽으며 서로의 변함없을 사랑을 마음껏 표현해 보자!
* 인증유형 : 공급자 적합성 확인
■ 저자소개
저자 : 채인선
남한강이 흐르는 충주의 한적한 시골에 정착해 사과나무를 키우며 책 읽고 글 쓰며 살고 있습니다. 그동안 그림책, 동화책을 포함해 60여 권의 책들을 썼으며 교과서에 실린 작품으로는 『내 짝꿍 최영대』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나는 나의 주인』 『가족의 가족을 뭐라고 부르지?』 『아름다운 가치 사전』 『원숭이 오누이』가 있습니다. 한림출판사에서는 『오빠한테 질 수 없어!』 『악어 우리나의 버스놀이』 『김밥은 왜 김밥이 되었을까』가 출간되었습니다. 자택에 다락방도서관을 열어 일요일마다 개방하고 있고, 도서관에 오는 아이들이 맘껏 뛰놀 수 있도록 ‘이야기 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