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日の為替レートrate

お振込銀行

クレジットカード支払い

ログイン | LOGIN

  • ems
  • jetro
  • ems

The Freedom Writers Diary (20th Anniversary Edition): How a Teacher and 150 Teens Used Wri...

通常価格 17,290ウォン
販売価格 17,290ウォン
韓国内配送料 2,500ウォン
オプション
 
 
商品購入についてのご案内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はワンモアが販売する商品ではありません。

・この商品の詳細情報、原産地、などは下記の【元の商品ページで開く】をクリックすると通販サイトで確認できます。

・この商品は韓国通販サイト【Auction.co.kr】の情報提携によって掲載しています。

・掲載されている商品のすべてが購入代行可能な商品ではなく、国際発送ができない商品や輸入ができない商品もあります。

・こちらで紹介している商品のイメージや詳細内容につきましては一切責任を負いません。

・購入希望の場合は販売サイト情報をご確認の上、「購入代行サービスお申し込み」よりご依頼ください。



안내

Paperback

상품소개

도저히 가르칠 수 없는 불량학생들의 집합소, 캘리포니아 롱비치 윌슨고등학교 203호. 보호 관찰 대상이거나 마약 중독 치료중인 아이, 전학 조치를 당한 아이들이 대부분인 이 교실에서 희망은 너무나 먼 얘기다. 그러던 1994년 가을, 살벌한 203호에 에린 그루웰이 나타난다. 그녀는 차별과 절망, 패배를 숙명처럼 받아들이는 아이들에게 교과서를 접고 '관용'을 가르치기로 한다.

내일에 대한 꿈조차 꿀 수 없었던 아이들에게 일어난 기적 같은 변화를 담은 성장 실화. 삭막한 사회에서 소외된 청소년들의 성장통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책으로, 힐러리 스웽크 주연의 영화로도 만들어져 큰 주목을 받았다. 스스로의 힘으로 희망을 찾고 미래를 변화시킨 아이들이 직접 써내려간 142편의 일기. 책과 글쓰기, 배움과 삶이 하나가 된 이 놀라운 이야기는, 세상 어디에나 있는 편견과 위선, 차별과 온갖 사소한 폭력들을 물리치기 위해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희망의 가이드가 될 것이다.

In this inspiring book, Erin Gruwell and her "unteachable, at-risk" students set out on a life-changing, eye-opening, spirit-raising odyssey against ignorance, misunderstanding, and the negative forces in their own lives. Beginning with their study of The Diary of Anne Frank and the Holocaust, the Freedom Writers seek out heroes in the wider world. As their writing projects develop, the students strive to become their own heroes.

저자 소개

저자 : 에린 그루웰 (Erin Gruwell)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에 있는 윌슨고등학교의 국어선생님으로 교사생활을 시작했다. 이상적인 교육을 꿈꾸었던 그녀는, 그러나 시작부터 지도가 불가능할 정도로 위험한 학생들과 부딪히게 된다. 어느 날 아이들이 돌려보던 인종차별적인 낙서를 가로챈 그녀는 이런 생각들이 홀로코스트를 낳았다고 화를 냈지만, 아이들은 무슨 얘긴지 모르겠다는 표정만 지을 뿐이었다. 이 일을 계기로 그녀와 그녀의 학생들은 ≪안네 프랑크: 어느 소녀의 일기(Anne Frank: The Diary of a Young Girl)≫와 ≪즐라타의 일기: 어느 사라예보 아이의 삶(Zlata's Diary: A Child's Life in Sarajevo)≫이라는 두 권의 소중한 책을 지침서 삼아, 편견과 오해에 맞서는 여정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책들을 통해 진실에 눈을 뜨고, 깨달음을 얻은 아이들은 삶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된다. 그들은 책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일기에 적었다. 그리고 시민운동단체였던 '자유의 여행자들(The Freedom Riders)'을 기리는 의미에서 자신들을 '자유의 작가들(The Freedom Writers)'이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