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세종국어문화원장 추천, 교과서 수록 작품
상품소개
미래 세대, 창의융합 인재교육에 부합한 21세기 국어 학습의 역작
독서·토론·논술·수능 전문 ‘국어공신’과 교육 콘텐츠 제작 전문가들이 모여
수년간 국어 교과서 소설을 연구하고 만들었다.
《중학생 국어 교과서 소설 읽기》에 선정된 교과서 소설들은 교육 전문가들이 교육 목표에 따라 고심해서 선별한 작품입니다. 9종의 교과서 작품 중에서도 특히 학생들이 사람과 사회, 세상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고 독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각 권마다 중학생 수준별 작품을 선별하였습니다. 그리고 현행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 과정의 내용과 성취 기준을 참고하여 작품을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학교 시험과 수행평가 대비, 대입의 기초가 될 수 있도록 독서 활동을 폭넓게 준비했습니다. 소설을 읽으며 작품 속 인물들의 생각을 살피고, 나의 생각을 더하며 고민하는 순간 여러분은 이미 미래의 창의적인 인재가 될 것입니다. 차근차근 소설을 읽고, 독서 활동을 따라해 보세요. 그리고 미래가 원하는 인재상으로 크게 성장한 ‘나’를 발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상품소개
목차
· 중학생 국어 교과서 소설 읽기 머리말
· 추천사
· 등장인물 소개
· 박완서
자전거 도둑
· 이청준
선생님의 밥그릇
· 이오덕
꿩
· 가드 모파상
목걸이
· 소를 줍다
전성태
· 오영수
고무신
· 허균
홍길동전
· 작자 미상
토끼전
저자 소개
조찬영
연세대학교에서 정치학, 서울예술대학교에서 문예창작,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창의융합인재교육을 전공하며 독서논술과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함께 연구했다. 스토리봄 독서·토론·글쓰기 학원과 창의융합인재교육원, 교육콘텐츠 전문 출판사를 운영하며 20여 년 동안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국어 교육과 독서·토론·논술 강의, 입시컨설팅을 진행해왔다. 독보적인 경험과 지혜를 녹여 수학과 과학, 사고력 훈련을 기반으로 인문, 사회, 예술, 언어까지 아우를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키워내기 위한 교육과 콘텐츠 연구 활동을 이어왔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STEAM창의융합 교육을 미래 교육의 핵심으로 여기며, 이를 위해 독서와 토론, 글쓰기에 강점을 갖는 인재 육성을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600여 권의 독서·토론·논술 교재와 창의융합 사고력 콘텐츠 등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강의하고 있다. 미래교육은 환경교육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자연 속에서 관찰하는 힘, 생각하는 힘이 융합교육의 핵심임을 강조하며 Leave No Trace Trace Korea 및 한국학교발명협회 이사로 활동하며, 학교와 기업 등에서 꾸준히 강연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중학생 교과서 소설읽기』 시리즈, 『가천대 약술 논술(국어) 모의고사』, 『간호학과 면접 대비자료집』, 『의학계열 면접 모의고사』 등이 있다.
엄인정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국어교육학을 전공했다. 현재 도서 편집과 교정, 영한 번역 업무를 병행하며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데미안』(2013),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2014), 『그리스인 조르바』(2015), 『호질, 양반전』(2016, 매월당), 『카네기 인간관계론』(2018), 『카네기 자기관리론』(2018), 『안나 카레니나 1, 2권』(2019, 생각뿔) 등이 있다.
오호윤
36년간 서울시 중고등학교에서 국어 교사로 근무했다. 단국문학상을 수상했고, 국어교육에 헌신한 노고로 교육과학부 장관상을 받았다. 녹조근정훈장을 수훈하고 서울 창덕여자고등학교에서 정년퇴직했다. 퇴직 이후에도 각종 기관에서 국어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
출판리뷰
‘국어공신’의 만점 공부 노하우로 문학 작품을
실시간으로 이해하고 독해 능력 및 논술까지 사로잡자!
『중학생 국어 교과서 소설 읽기』의 특징
①‘국어공신’이 콕 짚어 주는 소설의 기본 구성 요소부터 실전 문제 및 수행 평가까지 차례로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② 문학 작품의 전 지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국어공신’의 만점 공부 노하우를 담았습니다.
③ 문제를 풀고 내용을 잊어버리지 않도록 폭넓은 자기주도형 문제와 독후 활동을 담았습니다.
④ 독해 능력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으로 다양한 과목의 문제를 바르게 읽도록 돕겠습니다.
⑤ 주인공의 ‘뇌 구조도’와 만화로 보는 ‘인물관계도’를 통해 등장 인물들과 더욱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