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 대상 - 공급자적합성확인
책 소개
이제 한자가 초등 공부 경쟁력이다!
한자 훈음 학습부터 어휘 추론까지 완성하여 어휘를 제대로 정복해 보자!
『어휘를 정복하는 한자의 힘』은 초등학생이라면 알아야 할 한자와 한자 어휘를 배워 초등 필수 어휘를 정복할 수 있는 교재이다.
『어휘를 정복하는 한자의 힘』은 하루에 한자 한 개와 한자 어휘 4개를 학습한다. 가장 먼저 한자의 뜻과 소리를 익히고 그 한자가 들어 있는 한자 어휘를 배운다. 한자 어휘 속에 한자의 뜻이 어떻게 숨어 있는지 찾아보고, 한자 어휘의 뜻을 익힌다. 다양한 문제 유형을 통해 어휘의 뜻을 다시 한 번 적용해 보며 앞에서 배운 한자 어휘가 일상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확인한다. 마지막 ‘어휘 추론 문제’를 통해 새로운 어휘의 뜻을 유추해 보는 훈련을 하고 하루 학습을 마무리한다. 한 권을 완주하면 250여 개 한자 어휘의 정확한 표현과 활용을 익히고, 새로운 어휘의 뜻을 유추하는 추론력을 제대로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01. 수 4
DAY 1 半 반 반
DAY 2 分 나눌 분
DAY 3 計 셀 계
DAY 4 第 차례 제
DAY 5 番 차례 번
다지기
02. 자연 6
DAY 6 林 수풀 림(임)
DAY 7 電 번개 전
DAY 8 樹 나무 수
DAY 9 根 뿌리 근
DAY 10 果 실과 과
다지기
03. 가족 2
DAY 11 夫 지아비 부
DAY 12 祖 할아버지 조
DAY 13 孫 손자 손
DAY 14 族 겨레 족
DAY 15 禮 예도 례(예)
다지기
04. 사람 4
DAY 16 者 사람 자
DAY 17 信 믿을 신
DAY 18 親 친할 친
DAY 19 才 재주 재
DAY 20 術 재주 술
다지기
05. 시간 1
DAY 21 時 때 시
DAY 22 朝 아침 조
DAY 23 晝 낮 주
DAY 24 午 낮 오
DAY 25 夕 저녁 석
다지기
06. 상태 2
DAY 26 正 바를 정
DAY 27 直 곧을 직
DAY 28 公 공평할 공
DAY 29 平 평평할 평
DAY 30 利 이로울 리(이)
다지기
07. 상태 3
DAY 31 溫 따뜻할 온
DAY 32 太 클 태
DAY 33 感 느낄 감
DAY 34 愛 사랑 애
DAY 35 每 매양 매
다지기
08. 사물 2
DAY 36 所 바 소
DAY 37 各 각각 각
DAY 38 表 겉 표
DAY 39 級 등급 급
DAY 40 席 자리 석
다지기
09. 마을과 사회 2
DAY 41 道 길 도
DAY 42 路 길 로(노)
DAY 43 功 공 공
DAY 44 共 한가지 공
DAY 45 界 지경 계
다지기
10. 마을과 사회 3
DAY 46 班 나눌 반
DAY 47 合 합할 합
DAY 48 社 모일 사
DAY 49 會 모일 회
DAY 50 始 비로소 시
다지기
출판사 서평
▶ 통째로 외우는 한자는 그만, 이제는 읽는 한자다!
우리말은 70% 이상이 한자어로 되어 있다.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배우는 학습 개념어의 80% 이상도 한자어이다. ‘물질의 성질, 자석의 이용, 동물의 생활, 지표의 변화, 물질의 상태, 식물의 생활, 지층과 화석’. 이 말은 모두 초등학교 3,4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배우는 내용이다. 목차만 봐도 대부분이 한자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우리가 한자와 한자 어휘를 배워야 하는 이유가 있다. 우리말을 더 정확하고 바르게 사용하고, 교과 학습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한자 공부를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어휘를 정복하는 한자의 힘』은 이런 한자 공부의 방향에 맞추어 한자를 통째로 외우지 않고 읽는 한자로 접근한다. 한자의 모양보다는 뜻을 알고 그 뜻이 들어간 한자 어휘를 익힐 수 있게 구성하였다.
▶ 검색보다 빠른 유추의 힘을 기른다!
어휘력의 최종 도달 단계는 어휘 추론력이다. 글을 읽고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어휘의 뜻을 전부 다 알면 좋겠지만 그럴 수는 없다. 낯선 어휘를 만날 때는 그 뜻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글을 읽고 쓸 수 있으며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다. 한자 어휘 또한 마찬가지이다. 새로운 한자 어휘를 만났을 때 그 뜻을 유추할 수 있어야 한다.
『어휘를 정복하는 한자의 힘』 3권에서는 ‘석(石)’이 ‘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배우고 이 한자가 들어간 ‘석石공, 석石기, 석石탑’, 화석石’이라는 어휘를 학습한다. 네 개의 어휘를 학습한 후 이 한자가 들어 있는 또 다른 한자 어휘인 ‘석상’이라는 어휘의 뜻을 추론해 보는 문제를 푼다. 이런 추론 문제를 통해 낯선 어휘를 만났을 때 뜻을 유추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 한자 ‘돌 석(石)’을 이렇게 배운다면 수업 시간에 만나는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같은 어휘의 뜻을 누구보다 쉽게 유추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어휘를 정복하는 한자의 힘』은 매일 학습의 마지막 문제가 어휘 추론력을 길러 주는 다양한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매일 어휘 추론 훈련을 통해 검색보다 빠른 유추의 힘을 기르도록 하자.
▶ ‘특별 부록’ 한자 쓰기장 제공! 쓰면서 한자 뜻을 기억한다!
『어휘를 정복하는 한자의 힘』은 각 권 끝에 쓰기장을 제공한다. 본 학습에서 한자 쓰기를 덜어 내고 쓰기장을 별도로 마련한 이유는 본 학습에서는 우선 한자의 뜻과 소리를 알고, 그 한자가 들어 있는 한자 어휘의 뜻을 배우는 것에 집중시키기 위함이다. 쓰기장 또한 이 목표에 부합할 수 있게 훈과 음은 쓰지 않도록 만들었다. 보통의 한자 노트처럼 한자를 쓰고 훈과 음을 쓴다면 기계적으로 한자의 모양만 외우게 되는데 『어휘를 정복하는 한자의 힘』의 쓰기장은 한자를 따라 쓰면서 그 뜻과 소리를 기억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쓰기장 마지막에는 그 한자가 들어 있는 한자 어휘를 떠올려 쓰게 함으로써 한자 어휘를 최종적으로 정복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