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商品購入についてのご案内 | |||
|
|||
출판사 제공
책소개
엄마, 하고 부를 때
입안에 고이는 시금한 느낌의
시와 산문 모음
나이 사십에 울다 잠들어도
쉬이 엄마를 만날 수 없다는 걸 아는 마음
더러는 꿈결에 잠깐 마주친 엄마의 얼굴을 이삼 일
기억하는 마음
_임경섭, 「우는 마음」 부분
좋은 사람이면서 동시에 나쁜 사람일 수 있는 나를
아이들은 엄마라고 불렀다
_조혜은, 「개도(開度)─굳은살 엄마」 부분
엄마는 내가 아는 가장 순한 모국어
마흔 명의 시인이 부르는 우리들의 ‘엄마’
난다에서 『마음과 엄마는 초록이었다』라는 ‘엄마’에 관한 특별한 시집 한 권을 펴냅니다. 22년 10월 7~8일 열리는 제1회 경기 시 축제 <시경(詩京): 시가 있는 경기>의 일환으로 펴내는 이 시집은 축제 예술감독을 맡은 시인 오은이 기획하여 엮고 경기도에 사는 마흔 명의 시인에게 저마다의 ‘엄마’를 부르는 신작시 1편과 산문 1편씩을 청탁해 실었습니다. 1979년 조선일보로 등단한 장석주 시인부터 2018년 한국일보로 등단한 이원하 시인까지 세대와 성별을 폭넓게 아우르며 섭외한 마흔 명의 시인은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한 엄마의 이야기를 새롭게 써내려갑니다. 이 시집에 실릴 시를 쓰는 과정은 시인들에게도 녹록지 않은 일이었는데요. ‘엄마’라는 말 앞에서 멈칫해야 하는 골똘한 사정이 저마다에게 있어서일 것입니다. 그렇게 삶에서 마주하는 ‘엄마’라는 빛은 마흔 개의 시편 속에서 굴절되어 반짝입니다.
엄마는 내게 엄청난 두께의 텍스트이다. 무엇을 메모하고 받아써야 할 것이며, 무엇을 검은 빗금으로 지워야 할지 도통 알 수 없는 문제집 같다. 엄마― 부르면, 떠오르는 몇 개의 풍경이 있다. 그 풍경에 나는 여전히 엄마가 필요한 어린아이로 짙게 음각되어 있지만, 그것은 이미 아득히 오래전에 넘겨진 페이지에 불과하다.
_김경인 산문, 「엄마, 나의 마트료시카」 부분
“하나의 세계가 태어나고 성장하는 밑천”(송기영), 그렇게 우리의 시작에 있었던 엄마, 너무도 당연해서 제대로 살피지 못한 무명씨 같았던 엄마의 이름을 다시 부르며 사연을 톺아보는 이 시편들은 넓고도 깊은, 높고도 짙은 엄마의 세계를 펼쳐 보입니다. 그렇게 엄마의 삶을 그려보고 엄마와의 관계를 곱씹는 시간 속에서 엄마는 입을 갖게 됩니다. 시와 함께 덧붙인 엄마에 관한 짧은 산문에선 “서로가 오롯이 남인 것을 인식하는 것, 그것이 서로를 이해하는 방식”(권민경)이라는 깨달음을 앞에 두고 때론 탄식을, 안도의 웃음을 짓게도 되지요. “항아리 속에 봄의 생기도 있었고, 푸르게 반짝이던 여름의 감나무 잎도 가득했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깊게 비어 있어 아무리 들여다보려 해도 까마득하기만 하다”(최갑수)고 쓸쓸히 울리는 글을 읽다보면 “사랑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엄마와 나는 어긋지게 살았다”(이향지)는 회한이 읽는 우리에게 되돌아옵니다. 그러면 문득 닿을 수 없는 어딘가를 향해 이렇게 말하고 싶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엄마, 오늘의 기분은 어때?”(김승일)
“엄마를 통해 세상에 툭 떨어진”(이현호) 이 시집에 함께한 마흔 명의 시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권민경, 김경인, 김경후, 김기형, 김명리, 김상혁, 김승일, 김연아, 문보영, 문성해, 서효인, 성동혁, 손택수, 송기영, 안정옥, 유계영, 유병록, 유형진, 윤석정, 이문재, 이원하, 이재훈, 이향지, 이현호, 이혜미, 임경섭, 임승유, 임지은, 임현정, 장석남, 장석주, 정한아, 조혜은, 채길우, 채호기, 최갑수, 최문자, 최지인, 함성호, 황유원.
제1회 경기 시 축제가 열리는 경기 상상캠퍼스(경기 수원시 권선구 서둔로 166)에는 시인들의 시를 활용하여 ‘엄마에게 가는 길’이라는 산책로를 조성한다고 합니다. 이 푸른 가을, 시집 한 권 들고 천천히 걸으며 엄마에게 떠나보심이 어떠실지요.
● 저자 소개
권민경│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베개는 얼마나 많은 꿈을 견뎌냈나요』 『꿈을 꾸지 않기로 했고 그렇게 되었다』가 있다. 고양시에서 고양이와 함께 산다.
김경인│2001년 『문예중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한밤의 퀼트』 『얘들아, 모든 이름을 사
랑해』 『일부러 틀리게 진심으로』가 있다. 형평문학상을 수상했다.
김경후│1998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열두 겹의 자정』 『오르간, 파이프, 선인장』 『울려고 일어난 겁니다』가 있다.
김기형│201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저녁은 넓고 조용해 왜 노래를 부르지 않니』가 있다.
김명리│1983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물 속의 아틀라스』 『물보다 낮은 집』 『적멸의 즐거움』 『불멸의 샘이 여기 있다』 『제비꽃 꽃잎 속』 『바람 불고 고요한』이 있다.
김상혁│2009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이 집에서 슬픔은 안 된다』 『다만 이야기가 남았네』 『슬픔 비슷한 것은 눈물이 되지 않는 시간』이 있다.
김승일│2007년 『서정시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프로메테우스』 『나는 미로와 미로의 키스』가 있다.
김연아│2008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달의 기식자』가 있다.
문보영│2016년 중앙신인문학상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책기둥』 『배틀그라운드』가 있다.
문성해│199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200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자라』 『아주 친근한 소용돌이』 『입술을 건너간 이름』 『밥이나 한번 먹자고 할 때』 『내가 모르는 한 사람』이 있다.
서효인│2006년 『시인세계』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소년 파르티잔 행동 지침』 『백 년 동안의 세계대전』 『여수』 『나는 나를 사랑해서 나를 혐오하고』 『거기에는 없다』가 있다. 김수영문학상, 천상병시문학상, 대산문학상을 수상했다. 작란(作亂) 동인이다.
성동혁│2011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6』 『아네모네』가 있다.
손택수│199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호랑이 발자국』 『목련전차』 『나무의 수사학』 『떠도는 먼지들이 빛난다』가 있다. 현대시동인상, 신동엽창작상, 육사시문학상, 애지문학상, 이수문학상,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송기영│2008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ZIP』 『써칭 포 캔디맨』이 있다.
안정옥│1990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붉은 구두를 신고 어디로 갈까요』 『나는 독을 가졌네』 『나는 걸어 다니는 그림자인가』 『아마도』 『헤로인』 『내 이름을 그대가 읽을 날』이 있다.
유계영│2010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온갖 것들의 낮』 『이제는 순수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얘기는 좀 어지러운가』 『지금부터는 나의 입장』이 있다. 제5회 영남일보 구상문학상을 수상했다.
유병록│201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목숨이 두근거릴 때마다』 『아무 다짐도 하지 않기로 해요』가 있다.
유형진│2001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피터래빗 저격사건』 『가벼운 마음의 소유자들』 『피터 판과 친구들』 『우유는 슬픔 기쁨은 조각보』 『마트료시카 시침핀 연구회』가 있다.
윤석정│200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오페라 미용실』 『누가 우리의 안부를 묻지 않아도』 등이 있다. 내일의 한국작가상을 수상했다.
이문재│1982년 『시운동』 4집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시집으로 『내 젖은 구두 벗어 해에게 보여줄 때』 『산책시편』 『마음의 오지』 『제국호텔』 『지금 여기가 맨 앞』 『혼자의 넓이』가 있다. 김달진문학상, 시와시학 젊은시인상, 소월시문학상, 지훈문학상, 노작문학상, 박재삼문학상, 정지용문학상을 수상했다.
이원하│201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가 있다.
이재훈│1998년 『현대시』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내 최초의 말이 사는 부족에 관한 보고서』 『명왕성 되다』 『벌레 신화』 『생물학적인 눈물』이 있다. 한국시인협회 젊은시인상, 현대시작품상, 한국서정시문학상을 수상했다.
이향지│1989년 『월간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괄호 속의 귀뚜라미』 『구절리 바람 소리』 『물이 가는 길과 바람이 가는 길』 『내 눈앞의 전선』 『햇살 통조림』이 있다. 현대시작품상을 수상했다.
이현호│2007년 『현대시』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라이터 좀 빌립시다』 『아름다웠던 사람의 이름은 혼자』 『비물질』이 있다.
이혜미│2006년 중앙신인문학상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보라의 바깥』 『뜻밖의 바닐라』 『빛의 자격을 얻어』가 있다. 웹진시인광장 올해의 좋은 시상, 고양행주문학상을 수상했다.
임경섭│2008년 중앙신인문학상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죄책감』 『우리는 살지도 않고 죽지도 않는다』가 있다.
임승유│2011년 『문학과 사회』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아이를 낳았지 나 갖고는 부족할까봐』 『그 밖의 어떤 것』 『나는 겨울로 왔고 너는 여름에 있었다』가 있다.
임지은│2015년 『문학과 사회』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무구함과 소보로』 『때때로 캥거루』가 있다.
임현정│2001년 『현대시』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꼭 같이 사는 것처럼』 『사과시럽눈동자』 『무릎에 무릎을 맞대고 kiss』가 있다.
장석남│198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새떼들에게로의 망명』 『지금은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젖은 눈』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뺨에 서쪽을 빛내다』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꽃 밟을 일을 근심하다』 등이 있다. 김수영문학상, 현대문학상, 정지용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장석주│197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햇빛사냥』 『완전주의자의 꿈』 『그리운 나라』 『어둠에 바친다』 『새들은 황혼 속에 집을 짓는다』 『어떤 길에 관한 기억』 『붕붕거리는 추억의 한때』 『크고 헐렁헐렁한 바지』 『다시 첫사랑의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면』 『간장 달이는 냄새가 진동하는 저녁』 『물은 천 개의 눈동자를 가졌다』 『붉디붉은 호랑이』 『절벽』 『몽해항로』 『오랫동안』 『일요일과 나쁜 날씨』 『헤어진 사람의 품에 얼굴을 묻고 울었다』 등이 있다. 애지문학상, 질마재문학상, 영랑시문학상, 편운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정한아│2006년 『현대시』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어른스런 입맞춤』 『울프 노트』가 있다. 작란(作亂) 동인이다.
조혜은│2008년 『현대시』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구두코』 『신부 수첩』 『눈 내리는 체육관』이 있다.
채길우│2013년 『실천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매듭법』이 있다.
채호기│1988년 『창작과비평』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지독한 사랑』 『슬픈 게이』 『밤의 공중전화』 『수련』 『손가락이 뜨겁다』 『레슬링 질 수밖에 없는』 『검은 사슴은 이렇게 말했을 거다』 『줄무늬 비닐 커튼』이 있다. 김수영문학상, 현대시작품상을 수상했다
최갑수│1997년 『문학동네』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단 한 번의 사랑』이 있다.
최문자│1982년 『현대문학』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나무 고아원』 『그녀는 믿는 버릇이 있다』 『사과 사이사이 새』 『파의 목소리』 『우리가 훔친 것들이 만발한다』 『해바라기밭의 리토르넬로』가 있다. 박두진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신석초문학상, 한국서정시문학상, 이형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최지인│2013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나는 벽에 붙어 잤다』 『일하고 일하고 사랑을 하고』, 동인 시집 『한 줄도 너를 잊지 못했다』가 있다. 창작동인 ‘뿔’로 활동중이다.
함성호│1990년 『문학과 사회』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56억 7천만년의 고독』 『성 타즈마할』 『너무 아름다운 병』 『키르티무카』 『타지 않는 혀』가 있다.
황유원│2013년 『문학동네』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세상의 모든 최대화』 『이 왕관이 나는 마음에 드네』 『초자연적 3D 프린팅』이 있다. 김수영문학상, 대한민국예술원 젊은예술가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