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사 ◆
복두출판사
◆ 책소개 ◆
스마트폰과 같은 최첨단 시대의 기기에 익숙해져 철학적 소양과 인문학을 잊고 사는 건 아닌지 스스로에게 의구심이 들던 2015년 6월 어느 날이었습니다. ‘문명을 발전시키는 것은 과학이지만 이를 지탱하고 있는 것은 인문학이다’라는 생각이 들자마자 내가 경험하고 배웠던 작은 것이라도 반드시 글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처음으로 펜을 들게 되었습니다.
저는 광통신 업무에 종사한 지난 몇 년 동안 이 분야에 변변한 교재 하나가 없다는 사실을 항상 안타깝게 생각해왔습니다. 그래서 현업 중심의 광선로 운용 전문 교재를 만들어 봐야겠다는 필념으로 주변의 다양한 광선로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고 또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면서 준비해왔습니다. 광통신 분야의 관심과 열정 하나로 완성된 이 교재를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아낌없는 애정으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교재는 광네트워크, 장애처리 개론, 광선로 장애유형, OTDR, 광케이블 실무, 장애복구 사례 등의 내용을 주제로 다양한 현장 사례와 생생한 부록 사진 등을 수록하여 현실감과 입체감을 더했으며, 광선로 분야 전문가의 다년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집약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 교재가 대학에서 광통신을 배우고 있는 학생들, 광통신 관련 업무를 막 시작했거나 역량 강화가 필요한 이들, 광통신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들에게도 배움의 확장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유명 웹사이트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오직 현장에서만 얻을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을 담았기에 더욱더 광선로 운용 분야의 심도 있는 학습 자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끝으로 이 교재를 완성하기까지 광선로 운용 분야에 대한 깊은 철학을 나눠주시고 따뜻한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많은 분들과, 특히 오늘도 현장에서 고생하고 있는 모든 광선로 운용 구성원들에게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복두출판사 관계자 분들께도 감사함을 전합니다. 저는 언젠가 이 광통신 분야에서의 도전을 멈추겠지만 이러한 교재를 남길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보람과 긍지를 느끼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내용을 발판 삼아 또 다른 누군가가 광선로 운용 이론을 더욱 발전시키길 소망해봅니다.
◆ 목차 ◆
제1장 광네트워크1.1 광통신의 발전과정
1.2 광통신 기준 모델
1.3 광네트워크 구조
1.4 광네트워크 기술
1.5 광섬유 기술 전망
1.6 맺음말
제2장 장애처리 개론2.1 효율적 장애처리
2.2 담당자별 상세 역할
2.3 담당자별 역할 요약
2.4 광선로 장애처리 프로세스
2.5 긴급복구훈련
제3장 광선로 장애유형3.1 장애유형 분류의 중요성
3.2 장애유형 상세 분류
3.3 장애유형 상세
제4장 OTDR4.1 OTDR이란?
4.2 OTDR 파형 해석
4.3 표준SMF 광학적 특성표
4.4 데드존의 이해
4.5 펄스폭의 이해
4.6 펄스폭의 종류
4.7 1310nm, 1550nm 측정의 차이점
4.8 OTDR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4.9 OTDR 측정 예시
제5장 광케이블 실무 I5.1 RN
5.2 GBIC
5.3 광케이블 선번
5.4 288C 케이블 장애대비
제6장 광케이블 실무 II6.1 광케이블
6.2 광케이블의 설치
6.3 광접속함체
6.4 광케이블 시험
6.5 광케이블 유지관리
제7장 장애복구 사례7.1 장애복구 사례 학습의 중요성
7.2 장애복구 사례 정리 의의
7.3 장애복구 사례 요약
7.4 장애복구 사례 상세
제8장 AI 시대의 광인프라 역할과 전망8.1 AI 디지털 혁명의 시대
8.2 AI의 정의와 발전 단계
8.3 정보기술산업과 AI산업의 발전 방향
8.4 AI 시대의 광인프라 역할
8.5 AI 시대의 광인프라 발전 방향과 전망
8.6 맺음말
◆ 저자소개 ◆
신요한
저자 : 신요한
(주)유엔에이엔지니어링 매니저
- 운용사업본부/선로서부지사
- 선로운용 업무 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