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사 ◆
BIC 미디어북스
◆ 책소개 ◆
이 책은 뮤지션, 음향 엔지니어, 프로듀서, 그리고 음악 기술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음악 테크놀로지 학습서입니다.
특히, 기본적인 용어 이해에서 부터 힘들어 하는 뮤지션들이 작업에 필요한 거의 대부분의 기술적 내용을 여기저기 헤매지 않고 아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음향 엔지니어와 같은 전문 기술의 영역에 대해서도 아주 명료하고 정확하게 답을 알려드립니다. ChatGPT 특유의 완벽한 정리의 문법을 사용해서 총 146개의 기술적인 주제를 ‘음향시스템 핸드북’의 저자가 원하는 정답을 잘 안내해드립니다.
◆ 목차 ◆
소리의 이해
1. 소리를 어떻게 정의할까? 1
2. 소리는 어떻게 전달될까? 2
3. 소리와 매질의 관계 3
4. 소리의 기본 운동과 주파수의 관계 5
5. 소리는 에너지다 6
6. 시간, 크기, 주파수 축으로 보는 소리 8
7. 소리의 크기를 말하는 방법 9
8. 데시벨에서 로그를 쓰는 이유 14
10. 디지털 시대에는 dBFS 19
11. 다이내믹 레인지와 헤드룸에 대해서 20
12. 주파수 응답 22
13. 위상에 대해서도 공부해야지 25
14. 등청감곡선에 대해서 27
15. 배음이란? 29
16. 귀의 비선형 반응 32
17. 짝수 배음과 홀수 배음을 많이 이야기하지 34
마이크로폰
18. 마이크의 기능과 선택 기준 36
19. 다이내믹 마이크 39
20. 콘덴서 마이크 41
21. 리본 마이크 44
22. 그 외 다양한 마이크 47
23. 근접 효과란? 50
24. 과도응답의 원인과 마이킹에서의 고려사항 51
25. 마이크에 대한 추가적인 이야기 53
26. 연결 방식에 따른 음질 차이 55
27. 복각 마이크가 많이 나오는데 56
28. 마이킹의 핵심 개념 58
29. 어쿠스틱 기타 녹음- 마이크 vs 픽업 60
30. 리플렉션 필터 등의 악세사리 역할과 효과 63
31. 중고 마이크 구매 & 관리 가이드 64
스피커와 모니터
32. 스피커의 작동 원리를 알아봐야지 66
33. 엔클로저에 대해 알아야 할 부분 68
34. 액티브 스피커 vs 패시브 스피커 71
35. 투웨이 vs 쓰리웨이 스피커의 차이와 장단점 73
36. 리본 트위터 vs 돔 트위터 비교 75
37. 모니터 스피커로 하이파이 스피커를? 76
38. 우퍼 스피커 인치 크기와 저역대의 관계 78
39. 한 조 이상의 모니터를 쓰는 경우 80
40. 모니터 컨트롤러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 81
41. 헤드폰으로만 믹스할 경우 고려해야 할 점 82
42. 오픈형 헤드폰과 클로즈드형 헤드폰의 차이 84
43. 모니터 스피커와 플랫한 주파수 응답의 관계 86
44. NS10M, Auratone 5C 89
45. 초고가의 모니터 스피커가 필요할까? 90
46. 모니터 스피커용 액세서리 정리 93
모니터링과 공간
47. 좋은 모니터링 환경을 만들려면 94
48. 룸 이퀄라이제이션 96
49. 룸 모드와 간단한 해결방법 97
50. 정사각형 공간이라면 99
51. 아파트에서의 방진대책 102
52. 초저예산 플로팅 플로어 제작 가이드 104
53. 하우스 커브란? 105
54. 스윗 스팟이란? 107
55. 등청감곡선에 맞는 최적의 음압 109
56. 국제 규격에서 정한 음압 110
57. 앰프 볼륨 설정과 적절한 음압 조정 112
58. 앰프와 스피커 매칭, 제대로 알고 가자. 114
컴퓨터, DAW
59. Mac과 Windows의 장단점 115
60. DAW를 위한 최적의 CPU는 인텔 or AMD? 119
61. DAW 비교 121
62. 오디오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 비교 122
63. 보급형 오디오 인터페이스 비교 124
64. 전문용 오디오 인터페이스 비교 125
65. 오디오 플러그인의 주요 포맷별 차이를 비교 126
66. 빈티지 플러그인의 제조사별 비교 128
67. 가장 많이 쓰이는 플러그인의 제조사별 비교 131
68. DAW 번들 플러그인 134
69. DAW 번들과 서드파티 플러그인 비교 137
70. 하드웨어 제조사가 만드는 플러그인들 138
71. 플러그인 사용에 GPU가 도움이 될까? 140
72. 하드웨어 와 플러그인의 궁극적인 차이점 141
아날로그, 디지털
73.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가장 본질적인 차이 144
74. 아날로그 회로의 장단점 145
75. 디지털 회로의 장단점 147
76. 디지털 회로와 알고리즘의 차이 149
77. PCM 샘플링 151
78. 나이퀴스트 정리 153
79. 비트뎁스와 다이내믹 레인지 155
80. 양자화 노이즈, 디더링 노이즈란? 157
81. 지터 노이즈란? 159
82. DAW에서 클릭 노이즈 발생 원인과 해결 방법 161
83.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버퍼 사이즈 설정 162
84. 오디오 인터페이스 루프백 기능 164
85. DAW채널 스트립에서 처리 166
86. DAW 간의 세션 변환 167
87. 디지털 믹서에서 써밍되는 방법 168
88. DAW별로 써밍 알고리즘의 차이 170
89. 아날로그 게인과 디지털 게인의 차이 171
90. Native와 외부 DSP 처리의 차이 173
91. 하드웨어 컨트롤러의 필요성 174
92. 하드웨어 컨트롤러 프로토콜 분류 176
93. 디지털 콘솔에 대해 180
94. 디지털 콘솔별 DSP 비교 182
95. Dante 란? 184
96. AVB가 단테를 이길까? 187
97. 개인 작업실에 Dante를 쓴다면? 188
98. 네트워크 개념 쉽게 설명하기 189
99. TCP/IP 쉽게 설명하기 191
믹싱 테크놀로지
100. 레벨 밸런스의 기초 192
101. 노이즈 게이트 193
102. 컴프레서 내부 페이더의 동작 원리 196
103. 신호는 절대로 압축되지 않음 197
104. 컴프레서가 어려운 이유를 CatGPT에게 201
105. 빈티지 컴프레서를 제대로 쓸려면 204
106. 채널 중심으로만 다이내믹을 조정 206
107. 리미터 208
108. 다이내믹 프로세싱 210
109. 멀티밴드 컴프레서 212
110. 패럴렐 컴프레션에 대해 213
111. 컴프레서로 소스와 마이크의 거리 조정 215
112. 이퀄라이져 219
113. 이퀄라이져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222
114. 오디오 애널라이져에 대해 222
115. 코러스, 페이저, 플렌저 정리 225
116. 코, 페, 플의 대표적인 플러그인은 228
117. 스테레오 이미지 관련 플러그인 230
118. 딜레이 정리 232
119. 리버브에 대해 알아보자 238
120. 리버브에 대한 진지한 토론 240
121. 리버브종류의 시대적 트렌드 변화 245
122. 저자의 개인적인 리버브 세팅 249
123. 그외 플러그인들 250
음장, 스페이셜 오디오
124. 에디슨의 축음기 이전과 이후의 음장 252
125. 음장과 팬텀이미지에 대해서,역사와 정의 255
126. 팬텀이미지를 만드는 조건 258
127. 스테레오 믹싱에서 사용되는 3개의 축 261
128. 믹싱 기술에 대한 토론 262
129. 스페이셜 사운드에 대해서 265
130. 바이노럴 오디오 266
131. 스페이셜과 바이노럴 오디오의 호환성 270
132. 돌비 애트모스의 역사와 의미 272
133. 돌비 애트모스의 기술적 설명 275
134. 베드와 오브젝트 278
135. 돌비 애트모스 구현의 토론 282
136. 돌비 애트모스 렌더러와 스페이셜 코딩 284
137. 바이노럴과 스피커 시스템의 통일성 286
138. 돌비 애트모스 믹싱 287
마스터링과 그 이후
139. LUFS 290
140. 라우드니스 워 293
141. 마스터링의 역사 294
142. 요즘 마스터링 서비스의 의미와 목적 296
143. 믹싱을 하면서 마스터링을 같이 298
144. 마스터가 나온 후의 과정 302
145. 개인 아티스트로서의 장단점 304
146. 개인 아티스트의 장비병 308
◆ 저자소개 ◆
장호준
저자 : 장호준
지은이 장호준은 1966년 서울생으로 국립구미전자공고 정보기술과, 광운대 전산학과에 입학했다, 1986년 음향에 발을 디딘 후, 1991년 미국 Ohio주의 The Recording Workshop을 수료하였다. 그 후 10여년 동안 주로 현대 기독교 음악(CCM)쪽의 레코딩과 라이브 컨서트 엔지니어의 일을 했다.
1993년도 초판이 발행된 업계 최고의 베스트셀러 [음향시스템 핸드북]의 저자로 일반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확실한 이론과 실제적 적용을 앞세운 글로 온라인과 장호준음향워크샵, 믹스마스터클래스등을 통해서 정확한 기술의 보급에 힘쓰고 있기도 하다.
한편으로 작사, 작곡, 편곡, 프로듀서이기도 하며, 1995년 12월 첫번째 개인 프로젝트 앨범 '삶psalm'을 발매 하기도 했다.
20년의 미국생활을 정리하고 2019년 귀국해서 경기도 광주에 살면서 서초구 양재동에 블루소노 레코딩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
음향 이외의 영상, 조명, 인티그레이션의 미디어 시스템 전반에 걸친 컨설팅과 디자인의 일을 주로 하는 블루소노의 대표, 장호준음향워크샵의 대표로 있다.
website: hojoonchang.com
youtube.com/c/hj0102
facebook.com/hojoon.ch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