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商品購入についてのご案内 | |||
|
|||

< 기능 >
겨울철이 되면 나무에서 활동하던 해충들이 땅속으로 이동을 하는데 이동하는 중간지점인 나무의 줄기에 잠복소를 설치하면 해충들이 이곳에서 월동을 한다. 날씨가 따뜻해지면(봄이 되면) 잠복소를 수거하여 불에 태우면 해충들을 방제하게 됩니다.
< 겨울나기 >
기온이 내려가면 정원의 나무중에 특히 추위에 약한 품종이 있어 동해를 입지 않도록 대비해야 합니다. 그리고 짚 등으로 나무 중간에 일부를 감싸주어 해충을 유인했다가 봄에 제거하는 것도 이 시기에 할 일입니다.
< 잠복소설치하는 방법 >
ⓐ 잠복소를 나무 둘레에 맞게 자릅니다.
ⓑ 지면에서 1.5M 지점의 줄기에 설치합니다.
ⓒ 이탈되지 않도록 녹화끈으로 묶어줍니다.
ⓓ 이듬해 봄에 해체하여 불에 태워줍다.

<나무들의 겨울나기>
◇ 겨울철이 다가오면 주택의 정원이나 공원 등에 심겨져 자라고 있는 크고 작은 나무들이 겨울을 나기위한 준비를 해야합니다.
◇ 추위에 약한 나무들을 방치하였을 경우나 가을에 옮겨 심어서 잔뿌리가 충분히 발달되지 못한 나무들은 겨울철 이상고온이나 갑작스런 저온현상 등에 의하여 피해를 받게 됩니다. 겨울철 피해현상을 동해(凍害)라 하는데, 이들 피해로는 서리에 의한 상해(霜害), 눈에 의한 설해(雪害), 저온에 의한 한해(寒害) 등이 있습니다.
◇ 나무들이 겨울철에 동해를 받기 쉬운 장소는 오목한 지형으로 일교차가 심한 남쪽방향, 큰나무보다는 어린나무, 건조한 토양보다는 다습한 토양, 북서계절풍이 심한 지역에서 나무가 피해를 많이 받게 됩니다.
◇ 중부지방에서 자라는 소나무, 향나무, 전나무, 구상나무, 백목련, 단풍나무, 느티나무, 대추나무 등은 별도의 월동대책이 필요없습니다. 다만 가을에 옮겨 심었거나 어린나무 경우는 월동대책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남부지역에서 자라는 남천, 가이쓰가향나무, 감나무, 장미(덩굴장미 제외), 배롱나무, 후박나무, 수국, 히말라야시다, 동백나무, 모과나무,편백 등은 월동대책이 필요합니다.
◇ 동해를 막기 위해 시기는 10월말부터 11월중순까지 끝내야 합니다.